마리아, 에스더야!
전에 함께 공부했던
누가복음 10:38-42절 말씀 기억하니?
예수님을 대접한 자매 마르다와 마리아의 얘기다.
내용은 다음과 같다.
"저희가 길 갈 때에 예수께서 한 촌에 들어가시매
마르다라 이름하는 한 여자가 자기 집으로 영접하더라
그에게 마리아라 하는 동생이 있어 주의 발 아래 앉아 그의 말씀을 듣더니
마르다는 준비하는 일이 많아 마음이 분주한지라
예수께 나아가 가로되 주여 내 동생이 나 혼자 일하게 두는 것을 생각지 아니하시나이까
저를 명하사 나를 도와주라 하소서
주께서 대답하여 가라사대
마르다야 마르다야 네가 많은 일로 염려하고 근심하나
그러나 몇 가지만 하든지 혹 한 가지만이라도 족하니라
마리아는 이 좋은 편을 택하였으니 빼앗기지 아니하리라 하시니라."
생활 속에 일어난
작은 "에피소드"란다.
하지만 성경에 기록된 것을 보면
가볍게 볼 내용이 아닐 것이다.
예수님과 제자들을 집으로 영접한 마르다는
여러 준비하는 일들로 마음이 분주했다.
아마도 음식을 만들었나보다.
그런데 마르다의 동생 마리아는
예수님의 발 아래 앉아서 예수님의 말씀을 들었다.
이에 짜증이 난 마르다가 예수님께 와서
"주여 내 동생이 나 혼자 일하게 두는 것을 생각지 아니하십니까?
저를 명하사 나를 도와주라 하소서!"
하면서 불평을 했다.
그런데 예수님의 대답은 뜻밖이다.
"마르다야 마르다야 네가 많은 일로 염려하고 근심하나
그러나 몇 가지만 하든지 혹 한가지만이라도 족하니라.
마리아는 이 좋은 편을 택하였으니 빼앗기지 아니하리라."
예수님의 말씀을 따르면
마리아는 "좋은 편을 택했다."
마리아에게 있어서 좋은 것은
예수님의 발 아래 앉아서 그의 말씀을 듣는 것이다.
언뜻 생각하기에
마리아가 이기적(selfish)으로 보인다.
마르다는 이렇게 말 하고 싶을 것이다.
"좋은 편이라구요?
누구는 부엌에서 음식을 만들고 싶은 줄 알아요?
저도 가만히 앉아서 말씀 듣고 싶다구요.
하지만 그러면 음식은 누가 준비하죠?"
맞는 말이지?
마르다는 "좋은 편"을 택하는 대신
부엌에서 궂은 일을 하며 희생을 하는 것이다.
"나쁜 편"을 택한거지.
철부지 마리아와는 다르지.
마리아처럼 이기적이지 않고 어른스럽지.
하지만 예수님께서는
오히려 마르다를 책망하신다.
"마르다야 마르다야 네가 많은 일로 염려하고 근심하나
그러나 몇 가지만 하든지 혹 한가지만이라도 족하니라."
이 예수님의 말씀은
마르다가 왜 가만히 앉아 예수님의 말씀을 듣지 못하고
부엌에서 분주히 일할 수 밖에 없는지를 보여준다.
왜 마르다는 "좋은 편"을 놔두고
"나쁜 편"을 택했을까?
이는 마르다가 "많은 일로 염려하고 근심했기 때문이다."
마르다는 "근심 걱정"으로 인해
지금 원하지 않은 일을 하고 있는 것이다.
아마도 예수님이 오신다는 소식을 들은
마르다의 마음 속에 들어온 첫 생각은
"어머! 주님을 어떻게 대접하지?
무슨 음식을 준비하지?
몇 명분이나 준비해야 하나?" 이런 것들이었을 것이다.
그런데 이런 염려는 쓸데없는 것이었단다.
예수님께서는 "몇 가지만 하든지 혹 한가지만이라도 족하니라"라고 하신다.
심지어 마르다가 아무런 음식을 준비하지 않았더라도
예수님은 전혀 실망하시지 않았을 듯 하다.
그래도 사람들은 여전히 질문할 것이다.
"그래도 예수님께 뭔가를 대접해야 하지 않을까?"
물론이지!!!
예수님께 무엇을 어떻게 대접해야 하나?
조금 다른 얘기지만
예수님의 마음을 이해할 수 있는 성경 말씀이 있다.
요한복음 4장에 나오는 유명한
"예수님과 사마리아 여인"에 관한 얘기다.
예수님께서 우물가에서
한 사마리아 여인을 만나서
말씀으로 섬기신다.
예수님의 말씀을 들은 여인은
예수님께서 "그리스도"이심을 알고
물동이를 우물가에 버려둔 채 동네로 들어가 사람들에게 소리친다.
"나의 행한 모든 일을 내게 말한 사람을 와 보라 이는 그리스도가 아니냐!"
한 불쌍한 여인이 "예수님의 말씀을 듣고" 구원을 받은 것이다.
그 때 예수님의 제자들이 돌아왔다.
동네에서 먹을 것을 구해 온 것이다.
예수님께 먹을 것을 드리며 "잡수세요" 하자
예수님께서는 이렇게 대답하신다.
"내게는 너희가 알지 못하는 먹을 양식이 있느니라."
예수님의 "먹을 양식"이 무엇이겠니?
요한복음 4:34절에서 예수님은 이렇게 말씀하신다.
"나의 양식은 나를 보내신 이의 뜻을 행하며 그의 일을 온전히 이루는 이것이니라!"
예수님께서는
하나님의 뜻을 행하며
하나님의 일을 온전히 이루시기 위해
이 땅에 오셨다.
예수님의 성품을 생각하면
주님은 아마 단 1초도 다른 일에
허비하지 않으셨을 것이다.
하나님께서 하라고 하신 일을 위해
모든 시간을 쏟으셨을 것이다.
예수님께서 하시는 일은
잃어버린 양들을 찾아 구원하시는 것이다.
천국 복음을 전파하시며
말씀을 가르치시는 것이다.
제자들이 먹을 것을 구하러 간 동안
예수님은 이미 사마리아 여인을 섬기심으로
그리고 그 영혼을 구원하심으로
양식을 흡족히 드신 것이다.
예수님께 맛있는 양식을 섬긴 사람은
마을에서 음식을 구해온 제자들이 아니다.
예수님의 말씀을 듣고 이를 영접하고 그 영혼이 구원받은
바로 그 사마리아 여인이란다.
이런 의미에서 보면
마르다와 마리아 둘 중에서
예수님을 올바로 "접대"한 사람은
마리아다.
예수님의 발 아래 앉아서
예수님을 떠나지 않고
말씀을 귀기울여 듣는 마리아다.
그것이 바로 예수님께서 원하시고 기뻐하시는 "대접"이다.
마르다 마리아의 집에
이 예수님께서,
하나님의 아들이시며
세상의 왕이신 주님께서 잠깐 들르신 것이다.
그 사랑하시는 자들에게 급히 전하실 말씀이 있는 것이다.
이에 마리아는
조용히 주님 앞에 앉아서
똘망한 눈으로 예수님을 바라보며
"주여 말씀하옵소서 제가 듣겠나이다" 한다.
예수님은 신이 나셔서 열심히
말씀을 전하신다.
그런데 마르다는
지금 무엇을 하고 있는거니?
이 금쪽같은 시간을 안절부절하며
부엌에서 부침개를 만드는데
허비하고 있는 것이다.
그것도 모자라서
조용히 앉아 말씀을 듣고 있는
마리아까지 끌어내려고 하는 것이다.
"예수님께 드려진 양식"까지
치우려는 것이다.
예수님께서 꾸중하실만 하다.
마리아는 "좋은 편"을 택했다.
예수님의 말씀을 들으며 평안하고 행복했으며
예수님께서도 기뻐하셨다.
마르다는 "나쁜 편"을 택했다.
염려와 근심 가운데 피곤하게 일하는데 짜증만 나고
칭찬은 커녕 예수님의 책망을 들었다.
예수님께서 말씀하시는 "좋은 편"은
말씀 그대로 "정말 좋은 것"이란다.
마리아, 에스더야!
그런데 "좋은 편"을 택하고 누리는 것은
사실 쉬운 일이 아니란다.
가장 큰 이유는
무엇이 좋고 나쁜지에 대해서
예수님만 말씀하시는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예수님께서는
"가만히 앉아 말씀을 듣는 것"을 "좋은 것"이라 하시며
마리아를 칭찬하셨다.
하지만 마리아 주위에는 그녀를 흉보는 사람들도 있었을 것이다.
"아니! 언니는 음식 준비를 하느라 저렇게 바쁜데
동생이 되어서 저렇게 가만히 앉아있다니..."
더구나 언니가 와서 짜증까지 낸다.
지금 마리아는
이런 것들을 무시하고
예수님 앞에 앉아 있는 것이다.
쉬울까?
전혀 아니다.
가만히 앉아 말씀을 듣고 있지만
실상 마리아는 "굉장히 힘든 싸움"을 하고 있는 것이다.
그 싸움이 무엇이냐 하면
언니의 짜증과 사람들의 험담을 참으며
또는 "사람들이 옳다고 주장하는 것들"을 무시하며
"예수님께서 좋다고 하신 것"을
끝까지 붙드는 것이다.
이런 의미에서 마르다는 이 싸움에서 진 것이다.
사람들은 (그리고 마르다 자신은) 마르다에게 이렇게 말한다.
"귀한 손님이 오시는데 어떻게 김치만 내놓아요!
아무개 집은 이렇게 저렇게 했다는데..."
하지만 예수님은 달리 말씀하신다.
"몇 가지만 하든지 혹 한가지만이라도 족하니라!"
마르다는 사람들의 말을 무시하고
이 예수님의 말씀을 들어야 했다.
하지만 그녀는 예수님의 말씀을 듣는 대신
세상의 말들 그리고 자신의 마음 속의 "염려와 근심"의 소리를 들었다.
그리고 "할 수 없이" 나쁜 편을 택하였단다.
마리아, 에스더야!
우리가 어떻게
마르다처럼 살지 않고
마리아처럼 살 수 있을까?
근심과 염려에 쫓겨
어쩔 수 없이
하기 싫은 것을 하며
짜증을 내며 사는 삶이 아니라
어떻게 믿음으로
자유롭게
"좋은 것"을 택하고
기쁘고 행복한 삶을 살 수 있을까?
가장 중요한 것은 "하나님의 뜻"을 아는 것이다.
로마서 12:2절 말씀이다.
"너희는 이 세대를 본받지 말고
오직 마음을 새롭게 함으로 변화를 받아
하나님의 선하시고 기뻐하시고 온전하신 뜻이 무엇인지 분별하도록 하라."
이 말씀에서 사도 바울은
그냥 "하나님의 뜻"이라고 하지 않고
"하나님의 선하시고 (good)
기뻐하시고 (pleasing)
온전하신 (perfect) 뜻"이라고 한다.
그리고 그 뜻을 "분별(test and approve)하라"고 한다.
마르다가 예수님을 위해
분주하게 음식을 준비했다고 해서
"나쁜 짓"을 했다고 할 수는 없겠지?
하지만 "하나님의 선하시고 기뻐하시고 온전하신 뜻"은 아니다.
심지어 마리아가 예수님의 말씀을 듣는 것을 방해한 것은
"나쁜 짓"이라고 볼 수도 있는 것이다.
"하나님의 뜻"을 잘 알지 못하므로
원치 않게 오히려 그 뜻을 "거스린" 것이다.
이런 예들은 성경에 많단다.
베드로는 예수님께서 십자가를 지러 가시는 길을 막았다가
"사단"이라고 책망을 받았다.
예수님께서 베드로에게 이렇게 말씀하셨다.
"네가 하나님의 일을 생각지 아니하고 도리어 사람의 일을 생각하는도다!"
여기서도 "사람의 일"이 늘 나쁘다고 할 수 없지만
그것이 "하나님의 일" 또는 "하나님의 뜻"을 방해하면
"사단 만큼이나 나쁜 짓"을 한 것이 된단다.
또 마가복음 10:13-16절에서
사람들이 어린 아이들을 예수님께 데리고 나오는데
제자들이 이들을 꾸짖는다.
아마도 애들이 예수님을 귀찮게 할까봐 그런 것 같다.
그런데 예수님은 이를 보시고 "분히 여기셨다 (indignant)."
그리고 경고하셨다.
"어린 아이들의 내게 오는 것을 용납하고 금하지 말라
하나님의 나라가 이런 자의 것이니라
내가 진실로 너희에게 이르노니
누구든지 하나님의 나라를 어린 아이와 같이 받들지 않는 자는 결단코 들어가지 못하리라."
제자들로서는 당황스러운 일이 아닐 수 없다.
예수님을 위해 아이들을 막은 것인데
도리어 예수님의 책망을 받게 되었으니 말이다.
마르다가 음식을 준비한 것,
베드로가 십자가 길을 가로 막은 것,
제자들이 아이들을 못 오게 한 것,
이런 것들은 다 예수님을 위한다고 한 일들이지만
실상은 "하나님의 선하시고 기뻐하시고 온전하신 뜻"을 거스린 것들이다.
마리아, 에스더야!
앞에서 인용한 로마서 12:2절 말씀에
"너희는 이 세대를 본받지 말고"라는 말이 있지.
NIV 영어성경에서는 이 말을 이렇게 번역해 놓았다.
"Do not conform any longer to the pattern of this world!"
"The pattern of this world (세상의 패턴)"이란
"모든 사람들이 습관적으로 따르는 방식"이라고 할 수 있다.
사람들은 "생각 없이" 그냥 이 패턴을 따라 간다.
다들 그게 좋다고 하니까...
조금 심하게 비유를 한다면
"프로그램(세상의 패턴)이 심겨진 로보트"라고 할까?
그것이 좋은지 나쁜지,
좋다면 왜 좋은지 모른다.
그냥 프로그램이 된 대로 움직이는 것이다.
참 슬프게도
좋은 것을 분별하고
좋은 것을 선택할 수 있는 능력이 없는 것이다.
마리아, 에스더야!
언젠가 아빠와 함께
공부한 것이 기억날 것이다.
데살로니가전서 5:21,22절 말씀이다.
"범사에 헤아려 좋은 것을 취하고 (Test everything. Hold on to the good.)
악은 모든 모양이라도 버리라. (Avoid every kind of evil.)"
사도 바울 선생님은
모든 것을 테스트하라고 하신다.
너희들은 모든 것들에 대해
그것이 좋은 것인지 나쁜 것인지
다시 말해서 "하나님의 선하시고 기뻐하시고 온전하신 뜻"인지를
테스트해야 한다.
특히 과거에 생각 없이 따랐던 패턴들,
사람들이 다 옳다고 하는 것들,
모든 사람들이 좇아가는 패션들,
너희들의 생각과 행동에 생긴 오래된 습관들, ...
이런 것들을 "당연하게" 생각하지 말아라.
모두 다 테스트해야 한다.
그리고 그것이 하나님의 뜻이 아니면
미련 없이 얼른 버리거라.
물론 마리아 에스더는 아직 어리지.
무엇이 하나님의 뜻인지 테스트하기 쉽지 않겠지.
그래서 "내 생각"을 믿기보다
"다른 사람들의 판단"을 따르는게 편하지.
그렇더라도 마냥 그렇게 살 수는 없다.
너희들도 "어른"이 되어야 한다.
바울 선생님의 말씀처럼
"하나님의 선하시고 기뻐하시고 온전하신 뜻이 무엇인지"
분별할 수 있는 사람이 되어야 한다.
어떻게?
자꾸 하면 된다.
무엇을 하든지 깊이 생각해라.
하나님의 말씀 앞에 비추어 보아라.
예수님의 십자가 앞에 들고 나가거라.
너희 속의 성령님께 여쭈어 보아라.
항상 계속 그렇게 하거라.
그러면 하나님의 말씀과 성령께서
너희를 인도하실 것이다.
예수님의 길을 걷게 될 것이다.
"좋은 것"을 분별하고 택할 수 있을 것이다.
마리아, 에스더가
평생 "깨어서" 그렇게 살기를 기도한다.
아빠가,
'마리아 에스더에게'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불리한 싸움 (0) | 2012.11.29 |
---|---|
예수님께 나아온 두 사람 (0) | 2012.11.29 |
소유하는 것, 소유되는 것 (0) | 2012.11.29 |
십자가 (0) | 2012.11.29 |
믿는 자와 믿지 않는 자의 차이 (0) | 2012.11.29 |